맨위로가기

프랑시스 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랑시스 잠은 1868년 프랑스의 투르네에서 태어나, 1938년 사망한 프랑스의 시인이다. 그는 샤를 보들레르의 영향을 받아 시를 쓰기 시작했으며, 1897년에는 '자미슴'을 주창했다. 1898년 시집 《새벽의 삼종기도에서 저녁의 삼종기도까지》를 발표하며 문단에 데뷔했고, 이후 《앵초의 슬픔》, 《하늘의 맑은 곳》 등 다수의 시집과 소설, 산문, 희곡 작품을 남겼다. 1917년 아카데미 프랑세즈 문학 대상을 수상했으며, 가톨릭 신앙을 바탕으로 작품 활동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트피레네주 출신 - 도미니크장 라레
    프랑스 혁명 전쟁과 나폴레옹 전쟁 시기에 혁신적인 야전 의료 시스템을 구축한 프랑스 군의관이자 외과 의사 도미니크장 라레는 현대 군사 외과의 아버지로 불리며, 그의 업적을 기려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는 최고 의료 훈장인 도미니크장 라레 상을 제정했다.
  • 오트피레네주 출신 - 베르나데타 수비루
    프랑스 루르드에서 성모 마리아의 발현을 목격했다고 주장한 베르나데타 수비루는 가난한 방앗간 집안의 딸로 태어나 마사비엘 동굴에서 18차례의 성모 발현을 증언하여 루르드를 가톨릭 순례지로 만들었으며, 네베르 자선 수녀회 수녀로서 봉사 후 가톨릭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 프랑스의 시인 - 마르그리트 당굴렘
    마르그리트 당굴렘은 프랑스 왕족이자 작가, 예술 후원가로서, 나바라 왕비가 되어 르네상스 시대 프랑스 문화 발전에 기여하고 종교 개혁에도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
  • 프랑스의 시인 - 파블로 피카소
    파블로 피카소는 스페인 태생으로 프랑스에서 활동한 입체파 화가이자 조각가로서 조르주 브라크와 함께 입체주의 미술 양식을 창시했으며 《아비뇽의 처녀들》, 《게르니카》 등의 대표작과 함께 회화, 조각, 판화, 도자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방대한 작품을 남긴 20세기 최고의 예술가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 1868년 출생 - 펠릭스 호프만
    펠릭스 호프만은 바이엘사 연구원으로 아스피린과 헤로인을 합성한 독일 화학자이며, 특히 아스피린은 아르투어 아이헨그륀의 지휘 아래 합성되어 진통, 해열, 항염증제로 널리 쓰였으나, 아이헨그륀의 역할 축소 및 호프만의 공로 과장 논란이 존재한다.
  • 1868년 출생 - 이용구
    이용구는 동학 농민 운동에 참여하고 일본으로 망명하여 친일 활동을 하다가 시천교를 창설하고 한일 합방을 주도한 친일반민족행위자이다.
프랑시스 잠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17년의 프랑시스 잠
프랑시스 잠 (1917년)
이름프랑시스 잠
원어 이름Francis Jammes
로마자 표기Peurangsiseu Jam
직업시인
소설가
극작가
콩트 작가
예술 평론가
출생일1868년 12월 2일
출생지투르네 (오트피리네)
사망일1938년 11월 1일
사망지아스파랑 (바스피레네, 현 피레네아틀랑티크)
국적프랑스
언어프랑스어
경력
활동 기간1891년 - 1938년
대표 작품『明けの鐘から夕べの鐘まで』
『少女たち』
『野うさぎ物語』
수상레지옹 도뇌르 훈장 (사퇴)
아카데미 프랑세즈 문학 대상
데뷔 작품『6개의 소네트』

2. 생애

프랑시스 잠은 1938년 11월 1일 모든 성인 대축일날 아스파랑 자택에서 사망했다. 마을 묘지에는 작은 십자가 세워졌다.

2. 1. 출생과 초기

투르네에 위치한 프랑시스 잠 생가


프랑시스 잠은 스페인과 접경한 오트피레네주의 투르네(Tournay)에서 빅토르 잠 (1831-1888)과 아나 벨로(1841-1934)의 아들로 태어났다. 1876년, 아버지가 피레네자틀랑티크주의 등기소 세무서장으로 임명되어 그곳으로 이사했다.[3] 아버지가 전근을 거듭하면서 프랑시스는 , 이어서 보르도의 리세에 들어갔지만, 산책과 채집을 좋아하여 학업에는 열중하지 않았다.

1886년, 잠은 보들레르를 발견한다. 1888년(20세)에는 바칼로레아 자격 시험에 실패하고[3], 문학에 대한 경향이 깊어졌다. 그 해 아버지가 사망하고, 어머니와 누나와 함께 프랑스 남서쪽 끝 피레네자틀랑티크주오르테즈로 이사했다.[3] 이는 조상 대대로의 땅이었다. 1889년, 바칼로레아를 실패하고 (프랑스어에서 0점을 받았다), 마을 공증인의 집에서 변호사 서기를 하는 등 하루 벌어 하루 먹고 사는 일들을 한다. 이듬해 공증인 사무소에 근무하다 그만두고 시 창작에 몰두하여, 1891년의 『6개의 소네트』를 시작으로 시집을 출판했고, 그것들이 스테판 말라르메앙드레 지드에게 인정받았다.[4]

자아 찾기의 일환으로, 잠은 시를 써서 여러 잡지사에 투고한다. 오르테즈에서 잠과 함께 살던 어머니는 여러 차례 자신이 비용을 부담하여 잠이 쓴 시를 출판한다. 이 같은 시 습작들은 말라르메지드 같은 이들의 관심을 끌게 된다.

2. 2. 문단 활동과 자미슴

프랑시스 잠은 보들레르를 접하고 시를 쓰기 시작하여 여러 잡지에 투고했다. 어머니의 지원으로 시집을 출판했고, 말라르메지드의 주목을 받았다. 1895년, 메르퀴르 드 프랑스와 연을 맺고, 1896년에는 지드와 알제리로 여행을 떠났다.[4] 1897년에는 “자미슴(잠주의)”을 주창하며 자신의 문학적 입장을 밝혔다.[4]

1898년, 첫 시집 《새벽의 삼종기도에서 저녁의 삼종기도까지》를 출간하여 호평을 받았다. 1900년에는 폴 클로델을 만났고, 1901년에는 《앵초의 비탄》을 출간했다. 1904년에는 사랑의 실패로 큰 상심을 겪었고, 이는 <읍울> ''Tristesses''이라는 시군(詩群)으로 이어져 1906년 시 모음집 ''Clairières dans le ciel''에 실렸다.

잠은 파리 문인들에게 피레네 산맥에서 은둔하는 인물로 여겨졌지만, 지드, 아르튀르 퐁텐 등과 교류하며 파리 문학 살롱에도 방문했다. 그의 작품 ''La Brebis égarée''는 다리위스 미요에게 영향을 주어 오페라로 만들어지기도 했다. 1912년에는 <''les Géorgiques chrétiennes''>을 발간했고, 1917년 아카데미 프랑세즈 문학 대상을 수상했으나, 아카데미 프랑세즈 회원으로 선출되지는 못했다.

2. 3. 가톨릭 신앙과 후기

1900년, 폴 클로델을 알게 되면서 가톨릭 신앙을 굳혔으며, 1905년, 성지 루르드로의 순례에 클로델과 함께 갔다.[4] 1907년 10월 초, 39살의 나이로 잠은 그의 열렬한 팬이자 몇 주에 걸쳐 연락을 주고받은 주느비에브 괴도르프(Geneviève Goedorp)와 루르드에서 약혼하고 뷔시르롱(수아송에서 가까우며 엔 지방에 위치)에서 결혼했다. 잠은 결혼 후 몇 년간 엔 지방에서 머물렀다. 부부는 7명의 아이를 두었다. 자녀 중에는 맏딸 베르나데트 (약혼 장소인 루르드의 성(聖) 베르나데트 수비루의 이름을 딴)와 폴 클로델의 이름을 딴 넷째 폴 등이 있다. 1912년, 오르테즈 교구의 참사회원이 되었고,[3] <''les Géorgiques chrétiennes''>이 발간되었다. 잠이 죽기까지, 그의 시적이자 낭만적이며 극적이기까지 한 작품들은 계속 중요한 위치에 있었으나, 1905년 전의 독자들이 보여준 것과 같은 열광을 얻지는 못했다. 그럼에도 잠은 1917년 아카데미 프랑세즈 문학 대상을 수상했다. 한편 그는 아카데미 프랑세즈 회원 후보로 여러 차례 입후보했으나, 모두 실패했다.

3. 작품 세계

프랑시스 잠은 피레네의 작은 도시에서 작품 활동을 하였으며, 그의 작품은 당대 가장 진실하고 마음에 와닿는 특별한 것으로 평가받는다.[7][8] 잠은 자신만의 독특한 미학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의 시는 단순하게 쓰였다는 특징을 지닌다.[7][8]

장 베베르가 그린 프랑시스 잠

3. 1. 주제와 특징

프랑시스 잠의 작품은 피레네의 작은 도시에서 탄생했으며, 당대 가장 진실하고, 마음에 와닿으며, 특별하다고 평가받는다.[7][8] 잠은 자신만의 독특한 미학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의 시는 단순하게 쓰였다는 특징을 지닌다.[7][8]

3. 2. 자미슴 (Jammisme)

프랑시스 잠은 파리에서 아주 멀리 떨어진 피레네의 작은 도시에 살면서, 당대 가장 진실되고 마음에 와닿는 특별한 작품들을 썼다. 잠은 자신만의 독특한 미학을 가지고 있었는데, 그의 시작(詩作)은 단순하게 쓰였다는 것이 그 특징이다.[7][8]

3. 3. 대표작

프랑시스 잠의 대표작은 시, 소설, 평론, 희곡, 서간집 등 다양한 장르에 걸쳐 있다. 다음은 주요 작품 목록이다.

'''시'''

연도제목
1891년여섯 개의 소네트
1892년
1893년 (개정판)
1894년 (증보판)
1895년어느 날
1897년시인의 탄생
1898년열네 개의 기도
1898년De lAngélus de laube à l'Angélus du soir|새벽의 삼종기도에서 저녁의 삼종기도까지프랑스어
1899년시인과 새
1899년벌거벗은 소녀
1901년앵초의 슬픔
1902년–1906년하늘의 맑은 숲
1905년슬픔
1906년하늘의 맑은 숲
1906년나뭇잎으로 장식된 교회
1906년삶의 승리
1908년측정된 시
1908년꿀의 광선
1911년–1912년기독교 농경시 (3권)
1913년바람 속의 잎
1916년전쟁 시대의 다섯 개의 기도
1919년성모와 소네트
1921년묘비명
1921년장 드 라 퐁텐의 무덤
1922년, 1923년, 1924년, 1925년사행시집
1923년길 잃은 암양
1923년–1925년사행시 (4권)
1925년믿음을 다시 불태우기 위한 잔가지
1926년나의 시적인 프랑스
1928년다이아나
1931년사랑의 무지개
1935년종달새
1935년언제나 영원히
1936년근원
1943년비가와 다양한 시
1946년은총



'''소설 및 산문'''

연도제목
1899년Clara dEllébeuse; ou, LHistoire d'une ancienne jeune fille|클라라 데레부즈, 또는 옛 소녀의 이야기프랑스어
1901년Almaïde dEtremont; ou, LHistoire d'une jeune fille passionée|정열의 소녀, 알마이드 데트르몽프랑스어
1903년Le Roman du lièvre|산토끼 이야기프랑스어
1904년Pomme dAnis; ou, LHistoire d'une jeune fille infirme|몸에 십자가를 진 폼 다니스프랑스어
1906년Pensée des jardins|정원에 대한 명상프랑스어 (시·산문집)
1910년Ma fille Bernadette|나의 딸 베르나데트프랑스어 (시·산문집)
1916년Le Rosaire au soleil|로사리오의 기도프랑스어
1918년Monsieur le Curé d'Ozeron|오제론의 주임 신부님프랑스어
1919년Une vierge|한 명의 처녀프랑스어
1919년Le Noël de mes enfants|나의 아이들의 크리스마스프랑스어
1919년La Rose à Marie|마리아의 장미프랑스어
1920년Le Poète rustique|시인 뤼스틱프랑스어
1921년Le Bon Dieu chez les enfants|아이들에게 온 하느님프랑스어 (산문집)
1921년Le Livre de saint Joseph|성 요셉의 서프랑스어 (산문집)
1922년Le Poète et l'inspiration|시인과 영감프랑스어
1923년Cloches pour deux mariages|두 결혼을 위한 종프랑스어
1925년Les Robinsons basques|바스크의 로빈슨 가족프랑스어
1926년Trente-six femmes|서른여섯 명의 여자프랑스어
1926년Basses-Pyrénées|바스-피레네현프랑스어, 그 시적인 자연사
1927년Le Rêve franciscain|프란체스코적인 꿈프랑스어
1928년Janot-poète|시인 자노프랑스어
1928년Les Nuits qui me chantent|밤의 노래프랑스어
1928년La Divine Douleur|성스러운 고통프랑스어
1930년Champétreries et méditations|전원 관찰과 명상프랑스어
1930년Leçons poétiques|시의 낭독프랑스어 (평론)
1932년L'Antigyde; ou, Elie de Nacre|안티기드, 또는 진주색의 엘리오프랑스어
1934년Le Crucifix du poète|시인의 십자가프랑스어
1936년Le Pèlerin de Lourdes|루르드프랑스어의 순례자 (루르드 영험담)
1938년La Légende de l'aile; ou, Marie-Elisabeth|날개의 전설, 또는 마리-엘리자베트프랑스어



'''회고록'''

연도제목
1921년De lâge divin à lâge ingrat|신성한 시대에서 망은의 시대까지프랑스어 (회상록 제1권)
1922년L'Amour, les muses et la chasse|사랑·시신·사냥프랑스어 (회상록 제2권)
1923년Les Caprices du poète|시인의 변덕프랑스어 (회상록 제3권)



'''사후 출판'''

연도제목
1940년Dialogue Stéphane Mallarmé - Francis Jammes|말라르메와 잠의 대화프랑스어 (서간집)
1941년'Saint Louis; ou, LEsprit de la Croisade|성 루이프랑스어'' (역사 소설)
1942년Variations dans un air français|프랑스 가곡의 여러 양상프랑스어 (산문집)
1943년Deux femmes (Mamore, Simone)|두 여자(마모르, 시몬)프랑스어 (산문집)
1943년Rappel de la ville de Bordeaux|보르도 시의 추억프랑스어 (산문집)
1944년Sources et Feux|샘과 불프랑스어 (시집)
1945년Solitude peuplée|사람으로 가득한 고독프랑스어 (강연집)
1946년La Grâce|은총프랑스어 (시집)
1949년Le Patriarche et son troupeau|족장과 그 무리프랑스어 (회상록 제4권)
1950년'Le Poème dironie et dmour|풍자와 사랑의 시프랑스어 (시집)
1954년'Jonquille ou lhistoire dne folle|존키유, 또는 정신 나간 소녀의 이야기프랑스어 (미완의 소설)


4. 작품 목록

프랑시스 잠은 시, 소설, 산문, 희곡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남겼다. 다음은 주요 작품 목록이다.

연도종류제목비고
1891년Six Sonnets
1892년Vers1893년, 1894년 재출간
1895년Un jour
1896년기행Notes sur des oasis et sur Alger
1897년La Naissance du Poète
1897년선언문Le Jammisme
1898년Quatorze prières
1898년De lAngélus de laube à l'Angélus du soir|새벽의 종에서 저녁의 종까지프랑스어
1899년'Le Poète et loiseau''
1899년La Jeune Fille nue
1899년소설Clara dEllebeuse ou lhistoire d'une ancienne jeune fille|클라라 데레부즈, 또는 옛 소녀의 이야기프랑스어
1901년Le Deuil des primevères
1901년소설Almaïde dÉtremont ou lhistoire d'une jeune fille passionnée|알마이드 데트르몽, 또는 정열의 소녀 이야기프랑스어
1902년Le Triomphe de la vie
1902년Jean de Noarrieu
1903년소설Le Roman du lièvre
1904년소설Pomme dAnis ou lhistoire d'une jeune fille infirme|폼다니스, 또는 병약한 소녀의 이야기프랑스어
1905년Tristesses
1906년시/산문Pensée des jardins
1906년'LÉglise habillée de feuilles''
1906년Clairières dans le ciel릴리 불랑제가 1913년에 곡을 붙임
1908년Rayons de miel
1908년Poèmes mesurés
1910년시/산문Ma fille Bernadette
1911년-1912년Les Géorgiques chrétiennes전 7권
1913년산문/시Feuilles dans le vent
1916년산문Cinq prières pour le temps de la guerre
1916년소설Le Rosaire au soleil
1918년소설'Monsieur le curé dOzeron''
1919년La Vierge et les sonnets
1919년산문La Rose à Marie
1919년소설Le Noël de mes enfants
1919년소설Une vierge
1920년산문Le Poète Rustique
1921년산문'De lâge divin à lge ingrat회상록 제1권
1921년Épitaphes
1921년Le Tombeau de Jean de la Fontaine
1921년산문Le Bon Dieu chez les enfants
1921년산문Le Livre de Saint Joseph
1922년산문'LAmour, les muses et la chasse''회상록 제2권
1922년산문'Le Poète et linspiration''
1923년산문Les Caprices du Poète회상록 제3권
1923년Le Premier Livre des quatrains
1923년Le Deuxième Livre des quatrains
1924년Le Troisième Livre des quatrains
1924년소설Cloches pour deux mariages
1925년산문Brindilles pour rallumer la foi
1925년Le Quatrième Livre des quatrains
1925년소설Les Robinsons Basques
1926년Ma France poétique
1926년산문Trente-six femmes
1926년산문Basses-Pyrénées, histoires naturelles et poétiques
1927년전기Lavigerie
1927년산문Le Rêve franciscain
1927년Ouverture du Printemps
1928년희곡Diane3막극
1928년소설Janot-Poète
1928년산문La Divine Douleur
1928년산문Les Nuits qui me chantent
1928년산문Îles
1929년전기La Vie de Guy de Fontgalland
1930년산문Champêtreries et méditations
1930년Acrostiche pour un album
1930년평론Leçons poétiques
1931년산문'LArc-en-ciel des amours''
1931년산문'LÉcole buissonnière, ou Cours libre de proses choisies''
1932년소설'LAntigyde ou Élie de Nacre''
1933년소설Pipe Chien
1934년산문La Pharmacie du Bon Samaritain
1935년산문Le Crucifix du poète
1935년Alouette
1935년De tout temps à jamais
1936년산문'Dieu, lâme et le sentiment''
1936년산문Le Pèlerin de Lourdes
1936년Sources
1937년Feux
1938년소설'La Légende de laile ou Marie-Élisabeth''사후 출판
1940년서간집Dialogue Stéphane Mallarmé - Francis Jammes사후 출판
1941년역사 소설'Saint Louis; ou, LEsprit de la Croisade''사후 출판
1942년산문Variations dans un air français사후 출판
1943년산문Deux femmes (Mamore, Simone)사후 출판
1943년산문Rappel de la ville de Bordeaux사후 출판
1944년Sources et Feux사후 출판
1945년강연집Solitude peuplée사후 출판
1946년La Grâce사후 출판
1948년Prends nos vieux souvenirs사후 출판
1949년산문Le Patriarche et son troupeau회상록 제4권, 사후 출판
1950년'Le Poème dironie et dmour사후 출판



한국에서는 호리구치 다이가쿠가 번역한 『프랑시스 잠 시초』, 미요시 다쓰지가 번역한 『밤의 노래 산문시』, 이치하라 토요타가 번역한 『세 명의 아가씨』, 안도 지오가 번역한 『들토끼 이야기』, 테즈카 신이치가 번역한 『프랑시스 잠 전 시집』, 『세 명의 아가씨들』 등이 출간되었다.

4. 1. 시

피레네의 작은 도시에서, 시인은 당대 가장 진실되고 마음에 와닿는 특별한 작품을 썼다. 잠은 자신만의 미학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의 시작(詩作)은 단순하게 쓰였다.[7][8]

잠의 시는 다음과 같다:

연도제목비고
1891년여섯 개의 소네트
1892년1893년, 1894년 재출간[1]
1895년어느 날
1897년시인의 탄생
1898년열 네 개의 기도
1898년De lAngélus de laube à l'Angélus du soir|새벽의 삼종기도에서 저녁의 삼종기도까지프랑스어
1899년시인과 새
1899년벌거벗은 소녀
1900년-1901년삶의 승리
1901년앵초의 슬픔[1]
1902년-1906년하늘의 맑은 숲
1905년슬픔[1]
1906년하늘의 맑은 숲[1]
1906년나뭇잎으로 장식된 교회
1906년삶의 승리
1908년측정된 시
1908년꿀의 광선
1911년-1912년기독교 농경시3권
1913년바람 속의 잎
1916년전쟁 시대의 다섯 개의 기도
1919년성모와 소네트
1921년묘비명
1921년장 드 라 퐁텐의 무덤
1922년, 1923년, 1924년, 1925년사행시집[1]
1923년길 잃은 암양
1923년-1925년사행시4권
1925년믿음을 다시 불태우기 위한 잔가지
1926년나의 시적인 프랑스
1928년다이아나
1931년사랑의 무지개
1935년종달새[1]
1935년언제나 영원히
1936년근원
1943년비가와 다양한 시
1946년은총


4. 2. 소설 및 산문

프랑시스 잠의 소설 및 산문 작품은 다음과 같다.

  • Clara d'Ellebeuse ou l'histoire d'une ancienne jeune fille프랑스어 (1899년)[7][8]
  • Almaïde d'Étremont ou l'histoire d'une jeune fille passionnée프랑스어 (1901년)
  • Le Roman du lièvre프랑스어 (1903년)
  • Pomme d'Anis ou l'histoire d'une jeune fille infirme프랑스어 (1904년)
  • Pensée des jardins프랑스어 (1906년)
  • Ma fille Bernadette프랑스어 (1910년)
  • Le Rosaire au soleil프랑스어 (1916년)
  • Monsieur le curé d'Ozeron프랑스어 (1918년)
  • Une vierge프랑스어 (1919년)
  • Le Noël de mes enfants프랑스어 (1919년)
  • La Rose à Marie프랑스어 (1919년)
  • Le Poète Rustique프랑스어 (1920년)
  • Le Bon Dieu chez les enfants프랑스어 (1921년)
  • De l'âge divin à l'âge ingrat프랑스어 (1921년)
  • Le Livre de saint Joseph프랑스어 (1921년)
  • Le Poète et l'inspiration프랑스어 (1922년)
  • Cloches pour deux mariages프랑스어 (1923년)
  • Les Robinsons basques프랑스어 (1925년)
  • Trente-six femmes프랑스어 (1926년)
  • Basses-Pyrénées프랑스어 (1926년)
  • Lavigerie프랑스어 (1927년)
  • Janot-poète프랑스어 (1928년)
  • La Divine Douleur프랑스어 (1928년)
  • Champétreries et méditations프랑스어 (1930년)
  • Leçons poétiques프랑스어 (1930년)
  • L'Antigyde; ou, Elie de Nacre프랑스어 (1932년)
  • Le Crucifix du poète프랑스어 (1934년)
  • Le Pèlerin de Lourdes프랑스어 (1936년)
  • La Légende de l'aile; ou, Marie-Elisabeth프랑스어 (1938년)
  • Saint Louis; ou, L'Esprit de la Croisade프랑스어 (1941년)


한국에서는 호리구치 다이가쿠가 번역한 『프랑시스 잠 시초』, 미요시 다쓰지가 번역한 『밤의 노래 산문시』, 이치하라 토요타가 번역한 『세 명의 아가씨』, 안도 지오가 번역한 『들토끼 이야기』, 테즈카 신이치가 번역한 『프랑시스 잠 전 시집』, 『세 명의 아가씨들』 등이 출간되었다.

4. 3. 희곡

프랑시스 잠의 희곡으로는 1913년에 출간된 《바람 속의 나뭇잎》(Feuilles dans le vent)에 포함된 《길 잃은 양》(La Brebis égarée)과 1928년에 발표된 3막극 《다이아나》(Diane)가 있다.[7][8]

참조

[1] 서적 The Penguin book of French poetry: 1820-1950 : with prose translations https://books.google[...] Penguin Classics
[2] 웹사이트 Francis Jammes https://www.larousse[...] Éditions Larousse - Encyclopédie Larousse en ligne 2019-12-09
[3] 웹사이트 フランシス・ジャム (1868-1938) の生涯と作品 http://www.francis-j[...] Site de l'Association Francis Jammes 2019-12-09
[4] 웹사이트 FRANCIS JAMMES http://www.universal[...] Antoine Compagnon 2019-12-09
[5] 문서 元版は『世界名詩集18 ジャム クローデル』平凡社(1969)
[6] 서적 ユリシーズの涙 みすず書房
[7] 웹사이트 신시(新詩) http://obvil.sorbonn[...]
[8] 웹사이트 프랑시스 잠의 시 https://www.poemes.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